김상준. 2007.「헌법과 시민의회」. 함께하는시민행동.『헌법 다시보기』. 파주: 창비.
김상준. 2017.「‘시민정치 헌법화’의 경로와 방법: ‘시민의회’를 중심으로」.『법과 사
회』54.
김정인. 2018.「숙의민주주의 활성화를 위한 mini-publics의 유형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」.『한국공공관리학보』32(1).
서경석. 2018.「선거형 대의제의 대안으로서 추첨형 대의제」.『민주법학』66.
손우정. 2008.「추첨을 통한 위임 권력의 창출」.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가? - 국민소환제, 국민투표, 의원추첨제 시민토론회’ 자료집. 흥사단 주최.
손우정. 2012.「추첨, 선거민주주의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?」.『경제와 사회』95.
신용인. 2017.「제주특별자치도 민회(읍․면․동 지역대표형 상원)에 관한 고찰」. ‘상상하라, 새로운 주민자치 토론회’ 자료집. 제주주민자치 포럼 등 주최.
신용인. 2018.「마을공화국의 제도화 방안」.『법학논총』30(3).
오현철. 2007.「국민주권과 시민의회」. 함께하는시민행동 지음, 『헌법 다시보기』. 파주:창비.
오현철. 2009.「민주주의의 새로운 주체: 작은 공중(mini publics)을 중심으로」.『시민사회와 NGO』7(2).
오현철. 2010.「토의민주주의와 시민의회: 브리티시컬럼비아 사례를 중심으로」.『시민사회와 NGO』8(2).
오현철․강대현. 2013.「교육정책 결정에 적합한 의사결정 모형 탐색 -정부 주도 및 이익집단 경쟁에서 시민의회 모형으로-」.『시민교육연구』45(4).
이관후. 2018.「Deliberative Democracy의 한국적 수용과 시민의회: 숙의, 심의,토의라는 번역을 중심으로」.『현대정치연구』11(1).
추가 예정
내 modoo! 홈페이지,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?
네이버 검색창에 "추첨민주주의와 시민의회@"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.
"홈페이지명"에 "@"을 붙여 검색하면
네이버 검색에서 modoo!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기호 @은 영어 "at(~에)"를 뜻하며, 홈페이지 주소 modoo.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.
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.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,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! https://www.modoo.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. ⓒ NAVER Corp.